virtualization/VMware 660

[VMware] vCenter 5.1 Update1b released

vCenter 5.1 Update1b가 릴리스되었습니다.이번 역시 신기능의 추가는 없으며, 기존의 버그가 수정된 버전입니다. 해결된 버그는 다음과 같습니다. 같은 호스트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위한 콜이 동시에 실행될 경우 vCenter Server가 Win32 exception:Access Violation 에러로 정지함Web Client의 퍼포먼스 차트 표시가 되지않음리거시 스크립트 플러그인을 유효화했을 경우, Web Client의 모든 플러그인의 표시가 되지않음클러스터의 어피니티 룰을 변경시, 호스트 에이전트가 삭제될 경우가 있음 한가지 중요한 정보가 있더군요. 현재 vCenter 5.1.0b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업데이트전 반드시 확인하세요.중요 영어 이외의 로케일에서 vCenter Server 5.1..

[VMware] Horizon Workspace 1.5 released

EUC의 핵심 컴포넌트의 하나인 Horizon Workspace 1.5가 릴리스되었습니다.이번 1.5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추가/개선되었다고 합니다.VMware Ready 안드로이드용 디바이스 추가 (삼성의 갤럭시 S3, S4도 있군요)Workspace용 DB로 오라클(오라클 RAC 포함) 지원유니화이드 폴리시ThinApp 라이센스 정책에 '디바이스 라이센스' 추가UI의 Localization(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아울러 각 디바이스용 클라이언트도 공개되었습니다.이외 버그 수정 등 자세한 내용은 릴리스 노트를 참고하세요.

[VMware] VMware OS Optimization Tool

가상데스크톱의 마스터이미지를 작성은 문서를 보면서 따라하기만 하면 됩니다. 저도 문서를 바탕으로 예전에 포스팅한 방법으로 마스터 이미지를 만들고 있습니다만, 솔직히 번거롭습니다. 이런 번거로움을 한방에 해결해줄 툴이 VMware flings에 공개되었습니다. 이름하여 VMware OS Optimization Tool! 이 툴을 마스터이미지용 가상머신에 설치합니다. 설치후에는 툴을 기동, 가상머신을 분석후, 커스터마이징을 클릭하면 마스터이미지에 필요한 각종 설정과 레지스트리값을 변경해줍니다. 각종 설정항목은 템플릿화할 수도 있으며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 분석을 하고... 분석 결과는 최적화/미최적화별로 표시가 됩니다. 여기서 최적화를 클릭하면 가상머신의 최적화가 진행됩니다. 최적화의 결과도..

[VMware] Intel 82579LM network driver in ESXi 5.1

얼마전 홈랩 환경을 위해서 서버를 구입했다고 포스팅을 했습니다. 구입시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했죠. 오랜만에 시간이 있어서 서버를 설치하고 ESXi 5.1도 설치했습니다.설치하고보니, 네트워크 어댑터가 하나 인식을 하지않더군요.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내장되어있는 Intel 82579LM 네트워크 어댑터가 ESXi 5.1에서는 인식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애써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4개 확보했는데, 그중하나가 인식을 안한다니, 아깝더군요.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있었습니다!!! 일본 엔지니어분이 친절하게 드라이버를 작성, 공개했더군요. 그분의 페이지를 참고로 공개된 드라이버를 설치하니 무사히(!) 인식하게 되었습니다.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이 방법은 VMware사의 공식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검..

[VMware] VMware sold Zimbra

VMware사가 Zimbra를 Telligent사에 매각했다고 발표했습니다. software-defined data center, hybrid cloud, end-user computing 이렇게 3가지의 핵심사업에 중점을 두기 위해, 비핵심사업을 정리하는 차원이라고 하는데요, 그러고보니 이번의 이외에도 3월에 Sliderocket과 Wavemaker도 매각을 했었네요.사실 Zimbra나 Sliderocket를 매수했을 당시에는 View나 Horizon 와의 통합으로 기업내 통합 솔루션으로 새롭게 태어나지않을까 싶었는데 말이죠...

[VMware] Horizon View Feature Pack 2 was released

올해 3월 의 웹클라이언트나 태블릿에서의 이용을 강화한 Feature Pack 1을 릴리스한 이후 4개월만에 Feature Pack 2가 릴리스되었습니다. 이번 Feature Pack 2은 3가지의 기능이 추가,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1. 리얼타임 오디오-비디오 기능 접속단말기기의 웹카메라나 오디오기기를 리다이렉트, 가상데스크톱상에서 원격화상회의나 스카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또한 이 리얼타임 오디오-비디오 기능은 USB리다이렉트가 아니므로 낮은 대역폭에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 플래시 URL 리다이렉션 가상데스크톱상에서 플래시 URL를 클릭했을 경우, 접속단말기기의 플래스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어도비 미디어 서버에 직접 요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3. Unity Touch..

[VMware] Hyper-V on ESXi

얼마전 Hyper-V on Hyper-V에 대해서 소개했죠. 하지만 현재의 버전(Hyper-V v3)에서는 Hyper-V on Hyper-V가 된다... 정도로 그 위에 가상머신을 작성하여 환경을 구축하기는 어렵다는걸 알았습니다. 따라서 Hyper-V on ESXi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 방법은 이미 많은 블로거를 통해 검증되어져,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게 증명되었습니다. 더군다나 경제적(?)이기에 개인의 랩환경에서도 아주 유용하죠. 또한 vSphere나 Hyper-V의 환경을 동시에 구축할 수 있으니 일거양득이고요... 흐흐 이미 많은 정보가 공개되어있어, 간단히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참고로 전 이 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Veeam BlogESX virtualization ESXi상에서 Hyper-V를 설..

[VMware] VisualExtop

esxtop 명령어는 ESXi의 퍼포먼스를 모니터링, 트러블슈팅시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단지 다양한 필드값을 제대로 모니터링, 분석하기는 쉽지가 않죠. 2009년 VMware Lab에 esxplot이란 툴이 공개되기도 했었습니다만, Windows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버전의 python을 먼저 설치해야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습니다.(제 경우도 제대로 설치가 되지않더군요. 흐흐)그런데 얼마전 VMware Lab에 새로운 툴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름하여 VisualExtop! 이름대로 esxtop(resxtop 포함)의 데이터를 보기쉽게 해주는 툴입니다. vCenter에서 데이터를 얻어도 되고 ESXi에 접속하여 직접 데이터를 수집해도 된다고 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깔끔하게 표로 정리가 되어 표시가 ..

[VMware] vCenter Log Insight installation

6월 11일 로그관리 제품인 vCenter Log Insight를 발표했습니다. 이 vCenter Log Insight는 작년 매수한 Pattern Insight사의 제품을 개량, vCenter 제품군에 편입된 제품입니다. vCenter Log Insight를 쉽게 말하자면, syslog 서버입니다. vCenter, ESXi, 가상머신 등이 출력하는 방대한 양의 로그를 수집하여 가시화함으로써 리얼타임으로 가상 인프라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트러블슈팅을 가능하도록 합니다. 또한 기존의 관리툴인 vCenter Operations Manager와의 통합을 통해, 시스템 감시와 장애발생 예측을 강화했습니다.현재 베타가 공개중이며, GA는 올하반기에 릴리스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간단히 vCenter Log I..

[VMware] Workstation WSX

VMware Workstation 9부터 새롭게 등장한 기능을 소개할까 합니다.정식명칭은 VMware Workstation for WSX 로 HTML5 대응 웹브라우저를 통해 VMware Workstation과 ESXi상의 가상머신에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VMware Workstation상에 애드인이나 플러그인을 인스톨할 필요도 없습니다. HTML5 대응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됩니다. iPad 같은 태블릿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기에 간단히 가상머신을 조작할 수 있게됩니다. 애드인이나 플러그인을 인스톨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이 WSX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WSX Server란 웹서버가 설치되어, Workstation이나 ESXi간의 중계를 하게됩니다. 이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WSX 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