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ization/VMware 660

[VMware] vRAM 라이센스 정책을 포기?

[Update]아래의 소문(?)대로 vRAM 라이센스 정책을 포기하는군요. 아울러 물리적인 CPU의 제한도 없애버렸네요~VMware vSphere 5 licensing removes all restrictions on physical cores and physical RAM. This change eliminates barriers to deploying VMware vSphere on new multicore server configurations, improving customers’ ability to choose server hardware that best meets their requirements. 자세한 내용은 공개된 자료를 확인하세요~ 반가운 뉴스(?)가 들어왔습니다.vSphere 5부터..

[VMware ESXi] DRS에러

ESXi와 스토리지간에 발생한 접속문제를 해결후, ESXi 써머리란에 다음과 같은 구성 이슈가 표시될 경우가 있습니다.Unable to apply DRS resource settings on host. A general error occurred: vmodl.fault.SystemError.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ffectiveness of DRS. ■ 원인여기저기 찾아는 보고 있습니다만, 딱히 이게 원인이다란게 없는거 같네요. 제 경우는 ESXi와 스토리지간의 접속문제로 기인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쩝... ■ 해결방법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습니다만, ESXi의 Management Network 서비스를 재기동해주면 해결됩니다.콘솔 접속이 않될 경우는 SSH로 ..

[VMware vSphere 4.x] ESXi <-> 스토리지사이의 iSCSI 에러

VMware vSphere 4.x + iSCSI 스토리지 환경에서 스토리지의 패스가 Dead 상태로 변할 경우가 있습니다. 심할 경우 ESXi가 "Not Respoding" 상태가 되며, 가상머신에의 접속이 불가능해지게 됩니다. 이 경우 ESXi의 /var/log/messages에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기록됩니다.vmkernel: 15:20:19:21.132 cpu1:3946687)WARNING: VMW_SATP_LSI: satp_lsi_pathIsUsingPreferredController: Failed to get volume access control data for path "vmhba35:C7:T0:L1": Timeout또는vmkernel: 15:20:22:12.949 cpu0:3946687)..

[VMware vSphere 4.x] 스토리지 vMotion 실행중 실패

vSphere 4.x 환경에서 스토리지 vMotion을 실행시, 18% 진행중 다음과 같은 에러와 함께 스토리지 vMotion이 실패할 경우가 있습니다.A general system error occurred: Storage VMotion failed to copy one or more of the VM's disks. Please consult the VM's log for more details, looking for lines starting with "CBTMotion-".아울러 message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SCSI 코드가 기록될 경우가 있습니다.0x5 0x25 0x0 ■ 원인이것은 4.1부터 새롭게 추가된 VAAI 기능을 지원하지않는 스토리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VAA..

[VMware vSphere] vCenter Operations Manager 관리 페이지 로그인이 않됨

오랜만에 검증환경의 vCenter Operations Manager 관리 페이지에 로그인을 시도했습니다. 한동안 접속을 안해서 그런지 관리자의 패스워드를 깜박... --; 잊어서 그런지 아무리 로그인을 시도해도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만 표시되더군요.The user ID and password combination is invalid. Please try again. ■ 원인패스워드 입력이 3번 틀리면 lockout 되도록 패스워드 정책이 설정되어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해결방법 일단 UI VM에 콘솔이나 SSH로 접속, 록아웃된 어카운트를 해제해줍니다.pam_tally --user 록아웃 걸려있는 유저명 --reset아울러 록아웃 폴리시를 아예 무효화하고 싶으면 설정화일의 해당부분을 코멘트 처리합니..

[VMware View] Tiny Core Builder for VMware View

VMware View 의 클라이언트로 기존 PC를 씬클라이언트화하는 방법은 몇가지 있습니다.① 기존 PC를 Windows ThinPC로 재설치후, View Client를 인스톨② 기존 PC상에서 View Client만 시작되게끔 레지스트리값을 변경③ Ubuntu 등의 리눅스를 재설치후, View Client를 인스톨 Windows의 경우는 오픈 라이센스에 SA 계약이 필요하기에, SA 계약을 하지않은 기업에서는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기존 PC의 레지스트리만 변경해서 이용할 경우는, 언제든지 폴더 익스플로러등 간단히 불러들일 수 있기 때문에 보안면에서 뒤쳐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아, 그럼 비용도 않들고, 보안도 Windows 보다 강한 리눅스가 최적일까요? 일단 위의 3가지 방법 중에서는 비용대효과가..

[VMware vSphere] vCenter의 데이터베이스 로그 압축

vCenter를 운영하다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데이터베이스가 거대해지죠. 특히나 로그는 DB의 몇배 이상으로 늘죠. 최악의 경우는 HDD의 용량 부족으로 SQL Server서비스와 vCenter 서비스가 정지해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로그를 압축하여 용량을 확보해줄 필요가 있습니다.방법은 간단합니다. SQL Server Management Studio로 DB 서버에 접속, vCenter용 DB의 복구 모델을 일단 "단순" 모드로 전환후, 트랜잭션 로그를 압축해주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길 확인해세요~

[VMware] Nicira사 매수

얼마전 클라우드 자동화 솔루션 업체인 DynamicOps를 획득함에 이어 이번에는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 업체인 Nicira사를 매수했다고 발표했습니다.이 Nicira사는 Open Flow(네트워크의 제어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표준 프로토콜)를 기반으로 한 NVP(Nicira Network Virtualizaion Platform)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상화/클라우드의 파급으로 급격히 주목을 받고 있는 회사입니다.이로써 VMware사는 클라우드의 네트워크마저 손에 넣었습니다. VMware 왕국이 더욱 거대해지는군요. 흐흐

[VMware] VMware CEO 교체

얼마전부터 소문이 무성했던 VMware의 CEO 폴 메리츠(Paul Maritz)씨가 교체가 정식으로 발표되었습니다.성공(?)적으로 VMware를 키워놨기에 부모회사인 EMC의 Chief Strategist로 승진(?)해 나가는거 같습니다. 폴 메리츠씨의 후임으로 VMware를 이끌어갈 인물은 패스 젤싱어(Path Gelsinger)씨가 임명되었으며, 새로운 체제는 9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움직인다고 합니다.폴 메리츠씨는 일단 Chief Strategist로 있다가, 퇴임을 예정하고 있는 EMC CEO 조 투치(Joe Tucci)를 뒤를 이을지도 모른다란 루머도 벌써부터 돌고 있다는군요. PS 1.> 패스 젤싱어씨의 별명이 "미스터 x86"라는군요. 후후

[VMware vSphere] vSphere Client로부터 접속이 않됨

vSphere 5.x 환경에 vSphere Client로 접속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와 함께 접속이 않될 경우가 있습니다.An unknown connection error occurred. (The request failed because the client could not validate the server's SSL certificate.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Could not establish trust relationship for the SSL/TLS secure channel.))” ■ 원인vSphere Client는 .NET Framework 3.5 SP1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해결방법 여기서 .NET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