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TP4도 공개된 Windows Server 2016은 이미 Hyper-V의 독커대응, Hyper-V 컨테이너, 나노서버, Nested 대응 등 새로운 기능이 많이 추가되었습니다. 하지만 RDS/VDI 관련의 기능은 Multipoint Service 정도로 빈약합니다. 사실 Windows Server 2012/2012 R2의 RDS 서비스를 보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VDI 솔루션에는 그다지 공을 들이고 있지않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만... 쩝...
때문에 신기능보다는 기존 버그를 수정 :), 기능을 강화하는 패치가 소리소문없이 공개되곤하죠.
그런데 얼마전 버그수정이 아닌 Windows Server 2012 R2 기반의 RD Connection Broker의 성능을 크게 향상하는 패치가 공개되었습니다. 더군다나 이 패치는 Windows Server 2016용으로도 이용이 된다고 합니다.
이 패치는 RD Connection Broker의 접속처리의 로직을 변경한 것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 내부테스트 결과를 공개, 패치적용으로 로그인스톰시의 접속처리 속도와 접속율, RDSH추가/재시작시의 처리속도, 엔드-투-엔드 접속 속도와 접속율의 향상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처리속도의 경우는 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분"에서 "초"로 단축되었으니, 말그대로 커다란 성능향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진작에 이렇게 해주지.... 흐흐
내부테스트를 진행, 결과를 가이드로 공개예정이라고 하니, 공개되면 읽어봐야겠네요. :)
'virtualization > microso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VMware vSphere on Azure hardware (0) | 2017.11.24 |
---|---|
[Microsoft] SCVMM Error 13921 & Information 26845 (0) | 2016.06.22 |
[Microsoft] Storage Space Direct에 대해서 (0) | 2016.05.06 |
[Microsoft] SQL Server on Linux 발표 (0) | 2016.03.08 |
[Microsoft] Windows Server 2016 라이센스 정책에 변화? (0) | 2015.12.07 |
[Microsoft] RDS/VDI 관련 컴포넌트 Windows Update시의 주의점 (0) | 2015.07.27 |
[Microsoft] RD Connection Broker에서 가상데스크톱이 사라짐 (0) | 2015.01.21 |
[Microsoft] RDS/VDI의 안타까운 점들... (7) | 201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