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49

vmware-tools 인스톨후 /mnt/hgfs의 마운트 실패

ESXi Server상의 CentOS 가상머신을 작성후 vmware-tools를 인스톨한 뒤에 재기동을 하면, OS 기동시 마운트 실패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mouting other filesystem: vmware hgfs HGFS is disabled in the host" "Error: cannot mount filesystem: Protocol error " 일단 위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해도 OS는 무사히(?) 기동을 합니다만, 찜찜하죠. 흐흐 /etc/fstab을 확인해보면, vmware-tools 인스톨로 인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추가되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eginning of the block added by the VMware software .host:/ /mnt/h..

가상머신(CentOS 5.2)에 vmware-tools를 인스톨하기

ESX Server상에서 CentOS의 가상머신 작성후, CUI환경에서 vmware-tools를 인스톨하는 방법입니다. ※SSH등의 원격접속으로 vmware-tools을 인스톨을 실행하면, 도중에 접속이 끊어지므로, 콘솔에서 실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⑴ESX Server상에서 CentOS의 가상머신 "Install/Upgare VMware Tools" 을 선택합니다. ⑵CentOS의 가상머신 콘솔에서 다음을 실행 [root@ma-temp ~]# mount /dev/cdrom /media/ mount: block device /dev/cdrom is write-protected、mounting read-only [root@ma-temp ~]# cd /media/ [root@ma-temp media]# ..

Citrix XenServer 5가 무상제공에...

Citirx가 XenServer 5를 무상으로 제공한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이전부터 기능이 제한된 싱글서버용 하이퍼바이저 XenServer 5 Express Edition은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만, 이번에는 모든 기능을 갖춘 Enterprise Edition도 무상으로 제공한답니다.(뉴스에 의하면 2월 23일 발표한다고 하는군요) Enterprise Edition은 XenMotion이나 High Availability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무상 하이퍼바이저(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 Server나 VMware의 ESXi Server 등)보다 서버 가상화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게 되었네요. 솔직히 왜 무상으로(2소켓 서버의 라이센스 비용이 약 800만원) 전환을 했는지 의아해지긴 합니..

검증 실패...

며칠동안 VMware workstation상에 ESX Server와 virtual center를 인스톨해서 vmotion, VMware HA, DRS등을 검증해보려고 했습니다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orz 역시 메모리가 모자른 듯, vmotion을 실행하면 타임아웃으로 실패를 해버립니다. 흐흐 workstation상에서의 검증은 여기서 끝내야 될거 같네요. 운이 좋은건지, 금요일 검증가능한 서버가 2대 회수되었습니다. 그걸로 다시 한번 해보고 포스팅하죠... 흐흐

스토리지 설정

요며칠에 걸쳐 VMware workstation상에 ESX Server 2대, Virtual Center 1대를 작성했습니다. vmotion이나 HA를 검증하려면, 두 ESX Server가 공유하는 스토리지를 설정해야 됩니다. ESX Server에서 대응하는 스토리지에는 LUN, 공유 디스크, NFS가 있습니다. 예전에 검증용으로 쓰던 NFS서버가 있어서 NFS를 선택했습니다. 스토리지를 추가하기 전에 해야할 일은 "vesx1"와 "vesx2"에 각각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해야 합니다.(vmotion이나 HA는 VMkernel포트를 이용하기 때문) 일단 "vesx1"와 "vesx2"를 정지후, 각각 가상머신의 설정편집에서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해 줍니다.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후 ESX Server를 기동후,..

Virtual Center의 인스톨

이랄것까진 없습니다만... 가상의 ESX Server 두 대를 관리하기 위해서, 예전에 검증하던 Windows Server 2003(역시 가상머신입니다. 흐흐)에 Virtual Center를 인스톨했습니다. 뭐 인스톨은 HTTP/HTTPS 포트만 신경쓰면, 나머지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인스톨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흐흐 Virtual Center를 인스톨한 뒤에 "vesx1"와 "vesx2"를 등록한 상태입니다. 가상머신이 없으니까 썰렁하군요... 흐흐

VMware workstation에서 ESX Server 인스톨 - 두 번째 ESX Server

VMware workstation에서 무사히 ESX Server를 인스톨하고 나니, 본격적으로 검증하고 싶어지더군요. 흐흐 그래서 한대 더 만들었습니다. 음... 정확히 말하자면 클론 기능을 이용해서 한대 더 준비했습니다. 클론은 간단합니다. 작성해둔 첫 번째 ESX Server를 정지한 뒤에, '클론 작성'을 선택하면 되거든요. 흐흐 단지, 말그대로 클론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IP나 호스트명이 첫 번째 ESX Server와 동일합니다. 바꿔줘야죠. 1.첫 번째 ESX Server는 정지한 상태에서 두 번째 ESX Server를 기동합니다. (첫 번째 ESX Server는 "vesx1"라고 했으니 두 번째 ESX Server는 "vesx2"라고 해야겠습니다) 2.서비스콘솔에 로그인합니다. 3.호스트명과 ..

VMware workstation에서 ESX Server 인스톨

VMware VI3의 ESX Server는 서버 가상화 시장에서 점유율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제품이죠.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중에서는 안정성도 가장 높고, vmotion, HA, DRS등 다양한 기능이 있어 서버 가상화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의외로 높은 하드웨어 사양을 요구하기 때문에, 평가판을 다운로드해도 쉽사리 검증조차 할 수 없는게 문제입니다만... 흐흐 어떻게 높은 사양의 서버(그것도 2대!)를 구하지 않아도 검증할 방법이 없을까 구글 선생님에게 이것저것 여쭤보니, 친절하게 알려주시더군요. 방법은 VMware workstation상에서 구축을 하면 된다길래, 해봤습니다. 흐흐 (virtualization.info에서는 2007년에 공개되었더군요. 흐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상화 실태 조사 결과에 대해서

며칠전 가상화 뉴스 사이트 "virtualization.info"에서 공개한 "가상화 실태 조사"에 대한 결과를 소개한 글이 있었습니다. 결과중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의 이용율이 VMware의 ESX Server의 이용율보다 높다는 부분이 의외여서 소개를 했었는데,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나봅니다. 흐흐 그러한 지적을 무시할 수 없었던건지, 아님 지적이 있은 뒤 제대로 확인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결과에 대한 조작이 있을 수 있었다는 글을 올렸네요. 흐흐 내용인즉슨, 이번 실태조사에 대한 답변은 익명으로도 가능하고 특별한 보안조치를 취하지않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몇번이고 답변을 할 수 있었다며 답변에 조작이 있었을 수도 있다는군요. 그 증거로써 조사를 공개한 3일도안기간동안 마이크..

virtualization 200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