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ization 1007

서버 가상화 2009년 상반기 10대 뉴스(?)

SearchServerVirtualization.com에서 "2009년 상반기(?) 서버 가상화 분야의 10대 뉴스"를 소개했기에 발췌해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10. Sun Microsystems supports OVF in VirtualBox 2.2 4월 공개된 VirtualBox 2.2(최신 메이저 버전은 3.0)부터 "가상머신 이미지 포맷의 국제기준(Open Virtualization Format, OVF)"을 지원하게 되었답니다. 이로써 굳이 돈을 들여 VMware Workstation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었다고 하네요. 흐흐 9. Cisco Systems hires Christofer Hoff 음... 시스코사가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디렉터로써 Christofer Hoff란 인물을 채용..

virtualization 2009.07.17

[VMware 에러] Insufficient video RAM

ESXi 4상에서 Linux의 가상머신을 인스톨할 경우, 일부 디스트리뷰션의 구버전(커널 2.4이전)의 GUI 인스톨이 않될 경우가 있습니다.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기록됩니다. Insufficient video RAM. The maximum resolution of the virtual machine will be limited to 1240x933 at 16 bits per pixel. To use the configured maximum resolution of 2360x1770 at 16 bits per pixel, increase the amount of video RAM allocated to this virtual machine by setting svga.vramSize..

Windows Azure 11월 정식 서비스 개시

마이크로소프트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Windows Azure서비스를 오는 11월 정식으로 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아울러 요금체계도 공개를 했네요. 클라우드 OS인 Windows Azure는 시간당 $0.12, 스토리지는 1GB당 $0.15/월의 요금이 부과된다고 합니다. SQL Azure는 1GB의 RDB가 $9.99, 10GB의 RDB가 $99.99의 이용료라고 하며 네트워크 대역 이용료는 1GB당 $0.10~$0.15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Amazon EC2, S3와의 본격적인 대결이 시작되겠군요. 흐흐 PS 1.>한국은 2010년 3월 개시 예정이랍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차세대 Office 2010 무료 웹버전을 공개

마이크로소프트는 7월 13일 뉴올리언즈에서 열리고 있는 Worldwide Partner Conference 2009에서 차세대 Office 제품군인 Office 2010의 테크니컬 프리뷰판을 공개했답니다. 이 제품군에는 무료로 이용가능한 "Office Web Applications"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Office Web Applications"에는 Word, Excel, PowerPoint, OneNote가 포함이 되어있으며 Windows Live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는군요. 이걸로 Google Apps에 대항을 할 생각인가 보군요. 흐흐

Hyper-V R2 vs vSphere 4

이번 주중으로 정식 공개될 Hyper-V R2와 지난 5월 공개된 VMware의 vSphere 4의 비용과 기능을 비교한 표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것이라서 당연히 Hyper-V R2가 좋다라는 식입니다만... 흐흐 도입비용과 주요 기능이 한눈에 비교되니 좋군요. VMware vSphere vs. Windows Server 2008 R2/System Center Server Management Suite Enterprise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VMware SMB vSphere vs. Windows Server 2008 R2/System Center Server Management Suite Enterprise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어부지리(漁父之利)?

얼마전 Oracle사가 매수한 Virtual Iron사의 제품을 더이상 판매하지 않을 것이며, 사원의 대부분을 해고했다는 뉴스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발표에 가장 크게 낭패를 보는건 바로 Virtual Iron의 이용 고객들일겁니다. 더이상 라이센스의 연장도 않됨에도 불구하고 Oracle측이 확실하게 Oracle VM Server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툴이나 서비스를 발표한 것도 아니니 말입니다. 이런 와중에 VMware가 Virtual Iron의 이용 고객이 vSphere로 이행할 경우 라이센스 비용의 40%를 할인할 것이라는 발표를 해버렸습니다. 물론 목적은 Virtual Iron의 이용 고객의 획득이죠. 전문가들은 SMB시장에 그다지 관심을 갖지않았던 VMware로써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vSphere PowerCLI] 인스톨

ESX 4의 관리는 vCenter에서 하는게 제일 편하지만, 공부도 할겸 vSphere PowerCLI를 인스톨해봤습니다. vSphere PowerCLI는 Windows의 Powershell 기반의 vCenter용 관리/개발툴입니다. 이전까지는 VI Toolkit for Windows란 이름이었는데, vSphere 4가 공개되고 버전을 1.5로 올리면서 이름도 바꾼 모양입니다. 사실 관리는 GUI의 vCenter를 이용하는게 쉽고 보기도 좋습니다만, 개발이나 자신만의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관리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vSphere PowerCLI를 이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툴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후 인스톨... 인스톨후 "VMware Sphere PowerCLI"을 실행합니다. 처음에 실행을 하면 다음..

VMware Fault Tolerance

한대의 물리 서버에 여러대의 가상머신을 작성하여 서버의 도입비용과 관리비용, 그리고 전력까지 줄일 수 있다는건 서버 가상화의 최대장점일겁니다. 하지만 반대로 이런 걱정도 있습니다. 물리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그렇게 되면 그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 가상머신도 끝~이죠... 흐흐 이것이 서버 가상화의 최대단점(?)일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가상화 솔류션의 벤더들은 이러한 물리 서버의 장애로 인한 가상머신의 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죠. 이것이 바로 HA(High Availability) 기능입니다. HA는 말그대로 '고가용성'으로 주로 스위치나 UTM을 이중화하는 기술이죠. 이 기술이 서버 가상화에서 쓰일 경우는 이렇습니다. 두 대이상의 물리 서버를 같은 HA그룹의 멤버로 등록을 합니다..

[VMware 에러] VMware Cannot open the disk ... ~

오늘 진땀흘린 얘기를 하나 하겠습니다. 사내에 도입중인 VMware ESXi Server를 만지작만지작(?) 하다가 스냅숏을 꽤나 많이 만들어놓은 서버가 있길래, 몇개의 스냅숏을 지웠습니다. 지우던 도중에 서버가 멈추는거 같아서 VI Client를 죽이고 다시 띄웠는데... 허걱... 스냅숏을 지웠던 가상머신이 다음과 같은 에러로 기동은 안하더군요. 흐흐 "VMware Cannot open the disk ~~~ .vmdk or one of the snapshot disks it depends on. Reason: The parent virtual disk has been modified since the child was created." 왠 날벼락... 부랴부랴 해결 방법을 찾은 결과, 다음과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