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ization 1007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마이크로소프트가 Hyper-V Server 2008을 공개했군요. Hyper-V 1.0을 발표한 뒤 석달정도밖에 되지않은 것같은데 말이죠. 이번에 공개된 Hyper-V Server 2008는 Windows Server 2008 Server Core를 부모 파티션으로 이용하는 경량의 하이퍼바이저라고 합니다. 물론 무상이고요... VMware의 ESXi를 의식한 듯 하네요. 흐흐 하이퍼바이저 본체는 여기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아울러 설정매뉴얼은 여기서~ PS 1>경량이라더니, 1GB를 넘는군요. --;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 vs 호스트형 가상화

요즘 가상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있죠. 그중에서도 서버의 가상화는 많은 회사들이 안고있는 하드웨어의 관리, 재난에 의한 시스템의 신속한 복구등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각광을 받고있습니다. 이런 서버의 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 가상OS, VMM(Virtual Machine Monitor=가상머신에 CPU나 기억장치 등의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상화 레이어라고도 함)라고도 불리며 크게 두가지 "Type1 (네이티브, 베어메탈 방식)"과 "Type2 (호스트형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Type1 (일반적으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형 가상화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형 가상화라고 불립니다. 이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는, VMM을..

virtualization 2008.10.07

Citrix XenServer 5를 공개

9월 15일 XenServer 4.1의 차세대 버전인 XenServer 5(코드명:Orlando)를 공개했네요. XenServer 4.1보다 달라진 점은 이것저것 많이 보입니다만, 간단하게 몇가지만 추려보면, Xen 3.2 자동화된 HA(High Availability)와 Fail-Over NIC 본딩검색/감시/경고 기능 강화게스트 OS로 Windows Server 2008, Windows Vista SP1, Windows XP SP3 대응XenConvert (P2V만) 제공Control Domain(Domain 0) 조정스토리지 가상화의 강화Microsoft MMC 스냅인 (응?)등 100가지 이상의 신기능이 추가되어 강화된 관리기능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에디션은 XenServer 4.1와 마찬가지로 ..

Kodiak

복수의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다보면 귀찮은게 한가지 있습니다. 그건바로 각 벤더들이 내놓은 관리콘솔은 타회사의 제품을 인식하지 못하는 점이죠. VMware의 ESX시리즈는 Infrastructure Client를 사용하고, Citrix라면 XenCenter, Hyper-V라면 SCVMM(2008의 경우는 ESX시리즈도 대응한다는군요)을 각각 인스톨해야 효과적으로 하이퍼바이저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만, 여러 밴더의 하이퍼바이저를 도입한 경우는 영 귀찮은게 아니죠. 그래서 전 Citrix의 Project Kensho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다른 3rd 파티의 제품도 찾아봤는데, 이런게 걸리더군요. 미국의 BlueBear사가 개발중인 멀티밴더의 하이퍼바이저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콘솔입니다. Kodiak이란 ..

virtualization/etc 2008.09.24

가상화 기술, 정말 필요할까요?

근래들어 가상화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옆나라 일본에서는 2006년을 기점으로 매년 35%이상 증가하리라는 예측이 나올 정도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이 가상화 기술에는 "서버의 가상화", "스토리지의 가상화", "PC(데스크탑)의 가상화", "어플리케이션의 가상화" 등이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서버 가상화"입니다. "서버의 가상화"는 VMware를 선두로 Microsoft, Citrix, Oracle, Sun, Virtual Iron, Parallels 등 많은 벤더들이 이미 제품을 투입한 상태로, 조금이라도 높은 가상화 시장의 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해 보다 안정된 시스템, 관리툴을 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그덕분에 "서버의 가상화" ..

virtualization 2008.09.19

Linux Integration Component for Hyper-V

이 Linux Integration Component for Hyper-V는 Hyper-V의 VMbus를 이용해서 Linux의 VM의 동작을 최적화하기위해 필요한 컴포넌트입니다. 라고 합니다. Hyper-V가 정식 발표되기 전부터 RC버전으로 Microsoft Connect에서 공개되었는데, 8월들어 이 RC버전도 삭제되었더군요. --; 덕분에(?) SLES 10을 인스톨해도 마우스나 네트워크 카드등 Hyper-V에 최적화된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겪었었는데, 12일 정식판 [Linux Integration Component for Hyper-V]가 발표되었다고 하네요. 이로써 Hyper-V에 최적화된 Linux VM을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Microsoft Connec..

VirtualBox 2.0

VirtualBox는 독일의 Innotek사의 x86 플랫폼에서 가동하는 PC용 가상화 소프트웨어입니다. 올해 2월에 Sun Microsystems에 인수된 후에 버전을 2.0까지 발표되었습니다. 전 이 VirtualBox는 처음으로 인스톨해봤습니다만, 한글 지원도 되고, 게스트 OS로 Solaris, Mac OS까지 대부분의 OS가 동작가능하다는군요. Windows용을 인스톨했기에 클릭 몇번에 인스톨이 끝납니다. 사실은 미국시각으로 9월 10일 Sun의 xVM Server가 정식 발매된다는 소식을 듣고, 둘러봤는데 아직은 얼리어댑션 프로그램에 의한 일부 이용자에게만 제공되는 듯 하네요. VirtualBox는 여기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virtualization/sun 2008.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