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ization 1007

Virtual Center의 인스톨

이랄것까진 없습니다만... 가상의 ESX Server 두 대를 관리하기 위해서, 예전에 검증하던 Windows Server 2003(역시 가상머신입니다. 흐흐)에 Virtual Center를 인스톨했습니다. 뭐 인스톨은 HTTP/HTTPS 포트만 신경쓰면, 나머지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인스톨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흐흐 Virtual Center를 인스톨한 뒤에 "vesx1"와 "vesx2"를 등록한 상태입니다. 가상머신이 없으니까 썰렁하군요... 흐흐

VMware workstation에서 ESX Server 인스톨 - 두 번째 ESX Server

VMware workstation에서 무사히 ESX Server를 인스톨하고 나니, 본격적으로 검증하고 싶어지더군요. 흐흐 그래서 한대 더 만들었습니다. 음... 정확히 말하자면 클론 기능을 이용해서 한대 더 준비했습니다. 클론은 간단합니다. 작성해둔 첫 번째 ESX Server를 정지한 뒤에, '클론 작성'을 선택하면 되거든요. 흐흐 단지, 말그대로 클론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IP나 호스트명이 첫 번째 ESX Server와 동일합니다. 바꿔줘야죠. 1.첫 번째 ESX Server는 정지한 상태에서 두 번째 ESX Server를 기동합니다. (첫 번째 ESX Server는 "vesx1"라고 했으니 두 번째 ESX Server는 "vesx2"라고 해야겠습니다) 2.서비스콘솔에 로그인합니다. 3.호스트명과 ..

VMware workstation에서 ESX Server 인스톨

VMware VI3의 ESX Server는 서버 가상화 시장에서 점유율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제품이죠.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중에서는 안정성도 가장 높고, vmotion, HA, DRS등 다양한 기능이 있어 서버 가상화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의외로 높은 하드웨어 사양을 요구하기 때문에, 평가판을 다운로드해도 쉽사리 검증조차 할 수 없는게 문제입니다만... 흐흐 어떻게 높은 사양의 서버(그것도 2대!)를 구하지 않아도 검증할 방법이 없을까 구글 선생님에게 이것저것 여쭤보니, 친절하게 알려주시더군요. 방법은 VMware workstation상에서 구축을 하면 된다길래, 해봤습니다. 흐흐 (virtualization.info에서는 2007년에 공개되었더군요. 흐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상화 실태 조사 결과에 대해서

며칠전 가상화 뉴스 사이트 "virtualization.info"에서 공개한 "가상화 실태 조사"에 대한 결과를 소개한 글이 있었습니다. 결과중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의 이용율이 VMware의 ESX Server의 이용율보다 높다는 부분이 의외여서 소개를 했었는데,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나봅니다. 흐흐 그러한 지적을 무시할 수 없었던건지, 아님 지적이 있은 뒤 제대로 확인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결과에 대한 조작이 있을 수 있었다는 글을 올렸네요. 흐흐 내용인즉슨, 이번 실태조사에 대한 답변은 익명으로도 가능하고 특별한 보안조치를 취하지않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몇번이고 답변을 할 수 있었다며 답변에 조작이 있었을 수도 있다는군요. 그 증거로써 조사를 공개한 3일도안기간동안 마이크..

virtualization 2009.01.30

Citrix XenCenterWeb 공개

Citrix사의 하이퍼바이저 XenServer의 관리콘솔인 XenCenter의 웹기반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로써 웹에서도 간단히 XenServer의 가상머신들을 관리할 수 있게되었습니다만... 이 XenCenterWeb은 Citrix에서도 정식 서포트는 하지도 않고 기능면에서도 가상머신의 리스트, 각 가상머신의 기동, 재기동, 정지 정도의 기본적인 기능밖에 없다는군요. 흐흐 일단은 기본기능만으로 공개를 해놓고, 반응봐서 기능확충을 할지도 모르겠네요. 출처 The Citrix Blog 공개형식은 버철 어플라이언스 형식으로, XenServer에서 임포트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운로드나 관련 문서는 여기를 참조하세요~

virtualization.info의 가상화 실태조사 결과

제가 매일 확인하는 사이트중에 "virtualization.info"라는 곳이 있습니다. 거의 매일 가상화에 대한 뉴스를 소개하고 있는 사이트라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데요, 작년 말쯤이던가 답변했던 '가상화 산업에 대한 서베이'의 결과가 공개되었네요. 자세한 것은 여기를 참조하시고요... 결과중 눈에 띄는 점이 있어서, 잠깐 소개드립니다. Q6 - What hardware virtualization platform do you implement? (multiple choice)? 출처 : virtualization.info 보시는 바와같이,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의 도입 케이스가 VMWare의 ESX Server를 능가하고 있습니다. VMWare보다 한걸음 빨리 SMB 시장의 노리고 Hyper-..

virtualization 2009.01.21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R2 베타 공개

클라이언트 PC의 OS에서 Windows VISTA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반면, 서버 OS, 특히나 가상화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도 발빠르게 움직이며 조금씩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작년 10월 Hyper-V의 경량판으로 싱글서버용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Microsoft Hyper-V Server 2008"를 무상으로 공개했습니다만, 얼마전 차기버전인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R2" 베타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이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R2"은 이미 베타버전이 공개된 "Windows Server 2008 R2"에 탑재예정인 차기 Hyper-V 버전, Hyper-V 2.0과 같은 내용으로 현재의 Hyper-V에 다음과 같은 기..

Citrix Essentials for Hyper-V

얼마전 OVF를 기초로 한 멀티밴더 하이퍼바이저 관리툴인 "Project Kensho"를 공개한 Citrix가 내년 상반기중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용 관리툴인 "Citrix Essential for Hyper-V"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이 "Citrix Essential for Hyper-V"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Hyper-V도 Windows Server 2008 R2에 포함된 Hyper-V 2.0에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이 제공될 예정이라고 합니다만, Citrix쪽이 한걸음 앞서 나가겠군요. 흐흐